
논술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방법은 있습니다. 시험 논술이라면 합격을 위해 최선의 길을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에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논술 실력을 키우기 위해 딱 하나만 권하겠습니다.
정말 많이 쓰십시오.
논술은 논리적 글쓰기입니다.
본질적으로 논술도 글쓰기입니다. 그러니 많은 학생은 쓰기에 초점을 두고 공부합니다.
만약에 어느 정도 시간이 있고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할 여지가 있다면 차근차근 읽기부터 가르치겠습니다. 그러나 시간이나 비용 등 모든 면에서 한정적이라면 하나만 선택하겠습니다. 바로 쓰기입니다. 이렇게 쓰기를 강조하는 또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입시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 대부분 쓰기 경험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니 일단 써야 합니다. 수업 시간에 가르치다 보면 종종 이런 학생을 마주합니다. 한 글자도 쓰지 못해 쓰기를 머뭇거리는 학생입니다. 이런 경우가 가장 난감한 사례입니다.
무에서 시작하려니 힘든 까닭이죠.
1. 무엇보다 많이 써서 글쓰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내려놔야 합니다.
꼭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만 스트레스를 받는 게 아닙니다. 지금 이 글을 쓰는 저도 글을 쓸 때 압박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독백이 아니기에 그렇습니다. 가상의 독자를 상상하고 글을 써야 하는 까닭에 신경 써야 할 곳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씁니다. 일단 쓰고 고치는 게 빠르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저는 수업 시간에 매일 과제를 내줍니다. 학생의 역량에 따라 분량을 달리할 뿐 쓰기 숙제가 할당됩니다. 문제 유형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중요하지 않습니다. 일단 말문이 열리는 것처럼 글 문이 열려야 합니다. 그러나 백지라면 이야기는 달라지죠.
왜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학생의 심리적 문제를 없애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게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시간은 촉박하지 쉽게 펜대는 안 가지 진퇴양란에 처합니다.
이때 잘 쓰건 못 쓰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2. 써야 수정이 용이합니다.
논술 수업, 특히 입시 논술은 거의 모든 것이 첨삭에 달려 있습니다. 물론 강의가 때에 따라서 필요합니다. 그러나 앞서 제가 전제했던 전제를 상기해보죠. 시간이 없다는 현실이요.
이런 상황에서 강의는 최소화하고 첨삭을 주로 배정합니다. 이유는 단 하나! 학생이 자신 글에 대한 피드백을 최대한 얻고 수정하기 위해서이죠. 이런 이유로 저는 학생들에게 유명 학원가 논술 학원에 갈 필요가 전혀 없다고 주장합니다. 적어도 언어 논술에서 이름이 실력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한 반 수강 인원이 많을수록 첨삭 기회는 줄어들게 마련이니까요.
쓰고 첨삭, 쓰고 첨삭이 수업 시간에 반복되는 거죠. 이 때문에 계속 학생들에게 써야 한다고 강조하는 겁니다. 쓸 수 있으면 고칠 수 있고 그러면 나아집니다.
지금껏 제가 가르쳤던 모든 학생이 그랬습니다.
3. 논술 시험에서 쓰기에 대한 경험이 중요합니다.
우리의 대입 논술 시험이라는 게 시간이 정해진 논술 시험입니다. 짧게는 1시간 20분에서 길게는 2시간 안에 논술을 작성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게 초보에게는 굉장히 힘듭니다. 일단, 선다형 시험에 익숙한 학생에게 글쓰기 시험 자체가 생소합니다. 중간에 화장실을 갈 기회조차 허락되지 않은 조건에서 시험을 치러야 합니다. 인간사 모든 게 경험이 있으면 적응 방법을 찾게 돼있습니다. 그런데 처음이라면 시행착오를 겪게 되죠. 그래서 저는 쓰기 경험을 강조합니다.
많이 써 본 사람이 잘 씁니다. 이유야 글쓰기 게임의 규칙을 이해했기 때문이죠. 정해진 시간 안에 빠르게 잘 쓰면 됩니다.
논술의 게임 규칙입니다.
지금까지 시간이 촉박한 학생을 위해 논술 실력을 키우는 방법을 얘기했습니다. 다음 같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많이 써서 심리적 부담을 내려놔야 한다.
- 많이 써서 첨삭 등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 많이 써야 논술 시험의 규칙을 이해하게 된다.
논술 시험이란 게임에서 승리할 준비가 되셨나요?
지금 쓰십시오.
상담 문의
논술로 대학가자
∙ 대입논술과외 상담방입니다.
open.kakao.com
'대입 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수생을 위한 논술 전략 (6) | 2025.04.04 |
---|---|
대입 논술 제시문 읽기 (0) | 2025.04.02 |
논술 과외에 대해 궁금한 것들: 강사, 가격, 방법 (0) | 2025.03.28 |
논술 공부 시간, 정답은 없지만 (2) | 2025.03.26 |
만약에 논술 공부를 혼자 한다면 (2) | 2025.03.24 |